2026 복지제도 총정리
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, 긴급복지, 한부모·청년·장애인 지원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2026년은 복지제도가 대대적으로 바뀌는 해입니다.
이 페이지에서는 핵심 변화·지원금·신청방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① 기초생활수급자 — “이 조건 몰라서 탈락했습니다”
2026년부터 소득인정액 계산방식이 달라집니다. 중위소득 33% → 32% 조정, 재산·차량 평가 강화로 같은 소득이라도 탈락 위험이 커졌습니다.
- 생계급여: 1인 기준 63만 원 수준
- 부양의무자 기준 유지, 실제 부양 여부 조사 강화
② 차상위계층 — “지원은 더 까다롭지만 정밀해진다”
이제는 ‘소득만 낮다’로는 부족합니다. 가구 전체 재산·차량·금융자산을 포함한 소득인정액으로 판단합니다.
- 중위소득 50~60% 이하 가구 대상
- 자동차 시가·가족지원 여부도 평가
- 복지 사각지대 정밀 타깃
③ 긴급복지 — “위기에도 생계가 끊기지 않게”
실직·질병·사망·화재 등으로 갑작스러운 위기를 맞은 가구에 단기 생계비, 의료비, 주거비를 24시간 이내 선지원합니다.
- 생계비: 1인 63만 원 / 의료비 한도 500만 원
- 복합 위기(실직+질병 등) 포함
- 최대 6개월 자동연장
④ 한부모·청년·장애인 — “현금에서 생활지원으로”
2026년 복지정책의 방향은 ‘현금’보다 ‘생활 돌봄’ 중심입니다.
한부모
- 양육비 월 30만 원으로 인상
- 전용 임대주택 2,400호, 청년 한부모 우선 배정
청년
- 청년도약계좌 한도 100만 원, 정부 기여금 연 60만 원
- 월세지원 20만 원, 심리상담 쿠폰 신설
장애인
- 통합 돌봄 플랫폼 9월 전국 시행
- 장애인연금 35만 원, 고용장려금 60만 원
- 가족휴식 바우처 연 3회
